독서후기

댄 브라운/양선아 역, <다빈치 코드-2>, 베델스만, 2004 (2013/4/9/목)

魚山/막걸리 2013. 5. 10. 09:30

종교기호학 교수, 암호해독 전문가,

헤르마프로다테(자웅동체) = 헤르메스 + 아프로디테

남석적 정력의 신 아몬 , 상대로 다산을 상징하는 이집트 여신 이시스....

히에로스 가모스 : 신성한 결혼

아트배쉬

 

종교기호학이라는 학문이 있는가 보다!

 

나에게 흥미로왔더라면

이어서 바로 다 읽었을텐데...

몇일을 지나서야 읽었다.

 

 

================

 

종교기호학이란 학과는 없어요~

아마도 수천년전 기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파피루스나 벽화등에서 발견되는 아람어나 고대 그리스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종교에 관한 내용에서 많이 사용되어진것을 말할수는 있겠지요.

단, 기호학은 있습니다. 언어학자들이 심도있게 다루는 학문이지요.

 

기호학이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호를 지배하는 법칙과 기호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호를 통해 의미를 생산하고 해석하며 공유하는 행위와

그 정신적인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철학자들이나 스토아학파,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자들과 인문주의자들,

근대 철학자들이 모두 기호와 기호를 지배하는 법칙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고,

중국에서는 역(易)의 체계가 바로 세계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을

시도한 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학문으로서의 기호학은 과학적 경험주의,

즉 논리 실증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체계화하였으며,

F.de 소쉬르, C.S.퍼스, C.W.모리스 등의 작업으로 기초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때 비로소 기호학이 독립된 학문의 한 분야로 등장하였고,

오늘날에는 언어기호학, 시각기호학, 건축기호학, 음악기호학,

연극기호학, 문학기호학, 텍스트기호학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호학은 엄밀하게 말하면 이 기호 작용에 관한 학문입니다.

소쉬르에 따르면, 기호는 기표(記表:signifiant)와 기의(記意:signifi暴)

그리고 기호 자체로 구성된다고 합니다

 

==============

- 스코토마(scotoma)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맹점'이라는 뜻으로, 부정적인 선입관으로 인해 실존하는 사물이나 가능성을

   보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p11)

 

- 인간들은 자신이 바라는 것을 얻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더 노력하는 법..(p47)

 

- Baphomet이 재생산의 창조적인 힘을 가진 이교도의 다산의 신(p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