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
독특한 상상력, 기발한 언어유희로 사라져가는 감성을 되찾아주는 작가 이외수.
특유의 괴벽으로 바보 같은 천재, 광인 같은 기인으로 명명되며 자신만의 색깔이 뚜렷한 문학의 세계를 구축해 온 예술가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아름다움의 추구이며,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것은 바로 예술의 힘임을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1946년 경남 함양군에서 태어났고, 춘천교대를 자퇴한 후 홀로 문학의 길을 걸어왔다.
1972년 '강원일보'신춘문예에 단편 '견습 어린이들', 1975년 '세대'지에 중편 '훈장'으로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시작한 글쓰기가 벌써 30년을 바라보고 있다.
출간한지 20년이 넘는 첫 장편소설 '꿈꾸는 식물'에서부터 근작 '날다 타조'에 이르기까지 그의 모든 소설은 40-50만 부가 넘는
베스트셀러이자 스태디셀러를 기록하고 있는, 우리 문단에서 보기 드문 작가다.
문학과 독자의 힘을 믿는 그에게서 탄생된 소설, 시, 우화, 에세이는 해를 거듭할수록 열광적인 '외수 마니아(oisoo mania)'들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감성마을에 칩거, 오늘도 원고지 고랑마다 감성의 씨앗을 파종하기 위해 불면의 밤을 지새고 있다
<책 소개>
문단데뷔 30년 동안 출간하는 작품마다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려놓은 작가 이외수의 다섯 편의 장편소설을 '신비, 야성, 광기, 일탈, 환상'의 코드로 새로 읽는 <이외수 오감소설> 시리즈의 마지막 편 『황금비늘』.
『벽오금학도』(1992)를 출간하고 5년 만에 발표한 『황금비늘』은 '동명'이라는 한 소년의 성장소설인 동시에 우화의 형식을
빌려 작가가 오랫동안 심취해온 선도(仙道)의 깨달음을 쉬운 언어로 전해주는 구도소설이다.
안개 낀 날 황금빛 비늘을 흩날리며 창공을 헤엄치는, '초월적인 힘' 을 지닌 '무어(霧魚)'를 중심 소재로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게 되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상상 속의 물고기를 통해 참 자유의 경지를 그리고 싶었다"는 작가의 말이 집약된 도가적 풍취의 소설이다.
세상에 대한 온갖 증오와 저주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주인공은, 노인과의 낚시를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물욕의 허망함을 알게 되고 마침내 세상과의 화해를 시도한다. (제 1권)
<출판사 서평>
『벽오금학도』(1992)를 출간하고 5년 만에 발표한 『황금비늘』은, '동명'이라는 한 소년의 성장소설인 동시에 우화의 형식을
빌려 작가가 오랫동안 심취해온 선도(仙道)의 깨달음을 쉬운 언어로 전해준 구도소설이다.
4년에 걸쳐 10여 차례 탈고를 거듭했고, 순간의 욕망에 얽매인 정신을 다잡기 위해 교도소 철문을 주문해 달 만큼 기행도 아랑곳하지 않고 집필에 몰입했던 작가는, "조선시대 맹인들이 종이에 눈을 그려 붙이고 궁중에서 아악을 연주했다"는 한 줄의 인용을 위해 『대동야승』 17권을 독파했을 뿐만 아니라, 눈동자에 얼룩이 생기는 비문증(飛蚊症)을 앓기도 했다.
안개 낀 날 황금빛 비늘을 흩날리며 창공을 헤엄치는, '초월적인 힘'을 지닌 '무어(霧魚)'를 중심 소재로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게 되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상상 속의 물고기를 통해 참 자유의 경지를 그리고 싶었다"는 작가의 말이 집약된 도가적 풍취의
소설이다.
세상에 대한 온갖 증오와 저주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주인공은, 노인과의 낚시를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물욕의 허망함을 알게
되고 마침내 세상과의 화해를 시도한다.
세상에 대한 미움으로 점철된 그에게 도인의 경지에 이른 노인은 낚시를 통해 세상을 읽는 법을 가르쳐주는 메신저 같은 존재다.
인간의 진정한 구원을 주제로 작품활동을 펼쳐온 이외수 작가의 작품세계는,
현대 젊은이들의 소외와 방황, 절대고독을 소설적으로 형상화했던 『꿈꾸는 식물』 『들개』 『칼』,
도가적 사상을 바탕으로 일상 속에 잠재해 있는 신비와 환상을 화두로 삼아 인생의 궁극적 의미를 물은 『벽오금학도』
『황금비늘』『괴물』을 중심으로 크게 2기로 정리된다.
이 작품들 중 2000년 이전에 출간된 장편소설들을 시대감성에 맞는 감각 있는 편집으로 새롭게 선보이고자 기획된
<이외수 오감소설> 시리즈의 완간은, 이제 곧 세상에 내놓을 신작 장편소설을 시작으로 전개될 이외수 3기 문학의 문을 여는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이외수라는 작가의 책들은 언제나 제목을 보고는 읽고싶은 열정이 생기는데
막상 읽으려고 하면 다 읽지 못하곤 했었다.
이번에도 지레 짐작으로 두려워 했는데, 다행이 이번에는 그럭저럭 읽을 수 있었다.
이게 다 세월의 흐름 덕분일까?
하여튼 이번 기회에 동안에 읽지 못했던 나머지 책들도 다시 읽을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음 한다.
최근에는 순천 정원박람회의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고 하던가?
하여튼 작가가 살 고 있는 근처 산에를 간 적이 있었는데....
어느 산이였던가가 아물가물하다.
차가 막혀서 고생했는데....
'독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신문사편, <한국사의 재조명>, 민성사, 1993(2013/4/8/월) (0) | 2013.05.10 |
---|---|
이외수, <황금비늘-2>, 동문선, 2002(2013/4/5/금) (0) | 2013.05.10 |
리즈 와이즈먼, 그렉 맥커운 저/최정인 역, <멀티플라이어>, 한국경제신문, 2012(2013/4/2/화) (0) | 2013.05.10 |
한상만, <고전에서 배우는 경영인사이트 40>, 원앤원북스, 2012(2013/3/28/목) (0) | 2013.05.10 |
댄 브라운/양선아 역, <다빈치 코드-1>, 베델스만, 2004 (2013/3/28/목) (0) | 201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