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후기

독서신문사편, <한국사의 재조명>, 민성사, 1993(2013/4/8/월)

魚山/막걸리 2013. 5. 10. 09:29

<한국사 재조명>은 1972년부터 1년간 "독서신문"에 연재되었던 획기적인 역사 논문들로

56항목으로 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40여년이 지났다.

그 당시 새로운 과제들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고 있다.

 

1. 왕정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평가하느냐?하는 우리 자체의 문제

2. 일제의 식민지 사관에서 어떻게 탈피하고 극복하느냐?하는 문제

3. 국사의 대중화와 한국문화의 세계적 참여, 그리고 정사와 야사를 재정리하여 새로운 주체적 사관을 확립하는 문제 등

 

책 서를 이기백교수가 썼다.

대학교 입학해서 "한국사 신론"을 가지고 수업을 들은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그 때 처음으로 들었던 백조고길......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우익화와 독도문제...등등

역사에 더욱 관심과 노력을 기울어야 하는데

국사교육의 문제는 어떤 상태일까?

 

참 오랜기간동안 하나하나 글을 읽었는데, 지금 머릿속에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일까?

 

001. <선사시대와 그 문화>
002. 한국 선사문화의 편년-김원룡
003. 한국 신화와 상고대문화-김열규
004. 한국의 선사미술
005. 단군조선을 어떻게 볼 것인가-김정배
006. <고대사의 성장>
007. 낙랑문화의 역사적 입치-김원룡
008. 한국 고대 사의 성장-김철준
009. 신라 골품제도의 형성-이기백
010. 불교의 수용과 고유신앙-이기백
011. 임나 일본주의 허구-천관우
012. 관개토왕릉비의 해석문제-천관우
013. 고구려의 벽화고분-김원룡
014. 삼국과 중,일간의 문화교류-김원룡
015. 신라의 화랑도-변태변
016. 향가와 민족정서-김열규
017. 원효사상-이기영
018. 신라시대의 유교사상-이상은
019. <통일신라와 후삼국>
020. 삼국통일의 문화사적 의의-이용범
021. 통일기의 대당관계-신형식
022. 통일신라의 미술-문명대
023. 신라말기의 도당유학생-신형식
024. 신라말기의 민중의식-하현강
025. 후삼국시대의 호족 -이기백
026. <고려사의 전개>
027. 고려의 건국과 선종-최완수
028. 고려 초기 정치기구의 특성
029. 귀족사회의 본질과 성격-변태변
030. 사회체제와 민중생활-강진철
031. 고려 전기의 대중,일관계-황원구
032. 김부식과 묘청의 대립-하현강
033. <고려사의 전환>
034. 무신정권 성립의 의의-민내하
035. 무신정권하의 문인들-민병하
036. 농민,여비의 반란-김남규
037. 대몽항쟁과 삼별초-이용범
038. 사전의 개혁과 세력교체-강진철
039. 위화도 회군과 려말의 정세-강주진
040. 고려시대의 학문과 사상-안계현
041. 고려의 인쇄문화-김상운
042. 고려 청와와 미술-최순우
043. 고려시대의 성격-강진철
044. <근세조선>
045. 려말,선초의 대명관계-황원구
046. 조선조의 유교적 통치이념-최창규
047. 훙민정음 창제의 배경과 의의-이기문
048. 지배계층의 등용-김영모
049. 임진 내자양란의 의의-강만길
050. 당쟁의 성격-김용덕
051. 성리학의 한국적 변용-윤사순
052. <근대사의 시련>
053. 백두산의 정계비와 문도-박태근
054. 실학의 재평가-김영호
055. 실학파의 문학과 사회관-이우성
056. 개항 근대의 계기-최창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