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후기

토머스 불핀치 저/ 한백우 역, <그리스 로마 신화>, 홍신문화사 , 1997(2013/4/18/목)

魚山/막걸리 2013. 5. 10. 09:32

<저자 소개>

미국의 역사가이자 신화학자.

1796년 유명한 건축가인 차알스 불핀치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보스턴 라틴 스쿨, 필립스 엑스터 아카데미를 거쳐

1814년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모교인 라틴 스쿨에서 교편을 잡았다.

22세때 아버지를 따라 워싱턴으로 이주한 후 1925년 보스턴으로 돌아와 여러 가지 사업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1837년부터 평생 보스턴 머천트 은행의 행원으로 지냈다.

미국 산업혁명 완성기인 1967년 사망하기까지 그는 독신으로 지냈으며, 작품 <신화의 시대>는 그의 나이 59세에

출간된 것으로 우리에게 <그리스 로마 신화>로 잘 알려져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애독되고 있다.

저서로는 <신화의 시대> <히브루의 서정적 역사> <기사도의 시대> <중세의 로맨스> <시화시대의

시> <오래곤과 엘도라도> <소년 발명가> <전설의 시대 전집> 의 여덟 편이 있다.

 

<책 소개>

고대 그리스, 로마, 스칸디나비아, 그리고 동양 등지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들을 간추려 재구성한 토머스 불핀치의 대표작.

물질문명에 탐닉하기 시작한 10세기의 시민들에게 정신문화의 중요성과 그 위기를 깨닫게 할 목적으로 씌어진 책이다.

그리스도교와 더불어 서구문화를 지탱해 온 2대 지주인 그리스 문화는 서구인의 정서와 문화, 예술 등 각 방면에 걸쳐 두루

 영향을 끼쳐왔다.

그러므로 서구문화를 알려면 그리스 문화의 바탕이 되는 그리스와 로마의 신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토머스 불핀치는 그리스와 라틴어로 씌어져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불편했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일반화시키고

문화적 차원으로 승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여의도 침례교구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 12신  

   

   

1) 제우스

'찬란한 하늘'이라는 뜻이며  최고의 신이다.

올림푸스(Olympus) 최고의 신으로 하늘을 지배함과 동시에 인간사회의 정치ㆍ법률ㆍ도덕 등 모든 생활을 지배하였다

제우스의 힘은 다른11명의 신보다 강하며, 바람둥이 신이다. 

2) 헤라

'보호자'라는 뜻이며 최고의 여신이다. 상징은 공작이며, 가정의 여신이기도 하다.

여성의 보호신이며 결혼과 출산을 관장했고, 질투의 여신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릴 정도로 질투가 심하여 제우스의 연인들은

물론이고 자식들까지 심하게 박해하였다. 

3) 데메테르

'곡식의 어머니'라는 뜻. 곡식과 땅의 여신.

4) 포세이돈

'땅의 주인'이라는 뜻. 바다의 신이자 제우스의 형 '바다를 뒤흔드는 자'로 그의 무기인 삼지창 트라이아나를 휘둘러

암석을 분쇄하고, 폭풍우를 일으키고, 해안을 흔드는 지진의 신이다. 또한, 말을 창조한 경마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5) 디오니소스

'불완전한 신'이라는 뜻. 술과 황홀경의 신

6) 아르테미스

달과 사냥의 여신

7) 아폴론

'미남 청년'이라는 뜻. 태양의 신이자 궁술과 예언ㆍ의료ㆍ음악 및 시의 신이기도 하다. 

8) 아테나

'하늘의 여왕'을 뜻하는 수메르어 아나타에서 유래. 지혜의 여신. 전쟁과 여러가지 기예의 수호신이며  도시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9) 아레스

'전사'라는 뜻. 난폭한 전쟁의 신

10) 아프로디테

'거품에서 태어났다'라는 뜻. 미와 사랑의 여신

11) 헤파이스토스

'낮을 빛내는 사람'이란 뜻. 화산의 신이자 대장장이 신으로, 못생기고 절름발이지만 마음씨가 좋고 손재주가 좋음

12) 헤르메스

'돌무더기'라는 뜻. 전령의 신이며 나그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심부름꾼이다.

제우스-번개의 신 상징은 독수리 

-----------------------------------------------------

※ 12신의 분류는 분류자에 따라 디오니소스, 포세이돈, 헤스티아,하데스 등 3명의 신이 포함되거나 제외됩니다.

* 헤스티아 [Hestia] 

  불과 화로의 여신.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6명 가운데 맏딸로서 제우스와 포세이돈의 누나.

* 하데스

  죽음과 지하세계를 관장하는 신.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에 태어났으며, 제우스 및 포세이돈 등과는 형제지간.  

< 그리스 로마 신들의 계보 >  

 

 

 

 

 

 

< 그리스 로마의 신들 >

헤라-결혼의 여신 상징은 공작새

포세이돈-바다, 말의 신 상징은 말

데메테르-곡식, 대지의 여신 상징은 뱀

아폴론-태양,음악,의술,예언,궁술의 신 상징은 까마귀

아테나-지혜, 전쟁, 공예의 여신 상징은 올빼미

아레스-전쟁의 신 상징은 개, 독수리

아프로디테-미와 사랑의 여신 상징은 백조

헤르메스-전령, 도둑, 거짓말의 신 신들의 심부름꾼

아르테미스-달과 사냥의 여신 상징은 사슴

헤스티아-화롯불의 여신 상징은 나귀

헤파이스토스-대장간불과 대장장이 신 상징은 황소

하이데스-지하세계의 지배자이자 저승의 신

페르세포네-씨앗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

디오니소스-술과 포도의 신 상징은 표범

에로스-사랑의 신이자 아프로디테의 아들

프시케-소문에 의하면 자유의 여신 상징은 나비

헬리오스-태양의 신

에오스-새벽의 여신

이리스-무지개의 여신 헤라의 전용 심부름꾼

모이라이-운명의 여신 3명(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가이아-대지의 여신

우라노스-하늘의 신

폰토스-바다의 신

크로노스-시간의 신

레아-풍요의 여신

테티스-바다의 여신

네메시스-복수의 여신

고르곤-따지고 보면 괴물이 아니라 여신임.불사신이지만 메두사는 제외

플레저-프시케와 에로스의 딸이자 기쁨의 여신

프로메테우스-예지의 신

이나코스-이나코스강의 신

레토-아폴론남매의 모친

마이아-아틀라스의 딸이자 헤르메스의 모친

아틀라스-티탄이자 하늘을 떠받히고 있는 신

에피메테우스-동물을 만든 신

셀레네-달의 여신

판-목동,염소의 신

메티스-지혜의 여신. 제우스의 첫사랑으로 아테나를 낳았다.

닉스-밤의 여신

헤메라- 낮의 여신

키르케-마법사여신이자 마법사공주 메데이아의 고모

하르모니아-조화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딸

헤카테-마법과 달의 여신

노토스-비의 신

제피로스-서풍의 신

에일레이투이아-출산의 여신

헤베-청춘의 여신

에리스-불화의 여신

 

============

고스톱을 처음으로 배울 때에 족보라는 것을 적고 배운 기억이 난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이것 저것 읽다보니 필요한 것이 족보같은 것이었는데...

이번에 찾아보니 이런 족보같은 형식이 있어서 퍼왔다.

다음 번에 이런 류의 책을 읽게 되면 분명 도움이 될 것 같다.

이제는 신들의 이름도 어느 정도 입에 쉽게 오르내리게 도히었고....

 

읽고 나면 잊어버려도 언제가는 이해가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읽었다.

재미도 있고, 쉽게 책장이 넘어가는 부분도 있고....

하여튼 오래동안 들고 있었다가 마쳤다. 

 

<기억하고 싶은 귀절>

- 정치적 우두머리를 뚜렷한 자기 주관없이 열광적으로 맹종하는 자들을 미르미돈이라고 한다(p139)

- 벨레로폰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의 사형집행 영장을 가지고 왔다는 이 고사에서 "벨레르폰의 편지"란믄 말이 생겼다.

   이는 심부름하는 이에게 몹시 불리한 편지라는 뜻이다(p180)

- "페넬로페의 직물"이란 쉴새없이 일을 하지만 끝나지 않는 일을 의마한다(p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