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

[전북 부안]남여치주차장~쌍선봉(459m)월명암~직소폭포~실상사~사자동주차장 다녀오기(2013/4/21/일)

魚山/막걸리 2013. 4. 22. 14:31

산 행 지  : 전북 부안 쌍선봉(459m) 월명암 

산행일자 : 2013년 4월 22일(일)

누구랑 : 병주부부, 영만, 도승, 마눌님과 막걸리

날씨 : 봄바람이 불어 걷기에 아주 좋은 날

산행코스 : 남여치주차장(10:26)~쌍선봉 월명암(11:19)~직소폭포(12:50)~실상사(13:29)~

                ~사자동주차장(13:37)                    

산행시간 : 10:26~13:29(3시간 3분)

 

계획은 위도를 다녀올려고 했지만 낚시로 유명하다는 의견으로 내변산으로 가기로 했다.

그래서 아침을 먹고 우슬재에서 쇠뿔바위봉 산행을 정했다.

하산하는 곳에 차를 한대 주차하고, 모두 6명이 한차로 우슬재로 이동했다.

 

우슬재에서 오르는데 4월 말일까지 입산통제 기간이고 위반시 벌금30만원이라는 경고문구가 있다.

평소 혼자 같으면 그냥 통과하는데...

공론이 180만원을 어떻게....그래 결국 남여치로 급 변경했다.

그 와중에 마눌님이 살금살금 가보는데 CCTV카메라가 작동중인가 포착하자마자 마이크로 음성이 나오는데...

깜짝놀라 도망(?)을 나와 한바탕 웃음을 선사했다.

 

어수대 입구에서 다시한 번 아쉬워하면서 남여치로 이동했다.

 

어제와 달리 아침부터 날이 아주 좋았다.

우리 일행만이 아니라 등산객들이 많았다.

천천히 웃으면서 이야기도 하면서.....오르다 보니 월명암이다.

쌍선봉과 낙조대는 입산 통제표시를 해놓았다.

앞서의 경험이 더 이상......

 

월명암에서 한참을 쉬었다.

한 30여년 전에 이 곳을 온 기억이 있는데....새벽에 랜턴을 들고서...

직소폭포3거리에서 직소폭포를 다녀오느냐?그냥 내려가느냐? 실랑이를 하다가 결국 다녀오기로 했다.

다녀 온 후는 다들 잘했다고 한 걸 면 직소폭포 풍광이 멋있던 것은 사실인 것 같다.

떨어지는 폭포 물 수량도 어느 정도 되고...

또 소에 고인 물 색이 시퍼런게 외경스럽게 느껴지고

또 직소폭포 저수지를 따라 가는 등산로는 피로를 없애줄 정도로 편안했다.

 

안전하고 즐겁게 하산하여

바지락 칼국수로 점심을 먹고 헤어졌다.

 

산불방지기간이 끝나고, 회사가 쉬는 5월 1일(수) 근로자의 날에 이 곳 쇠뿔바위봉을 다시 올까? 생각했다. 

 

<다녀온 개념도>

<들머리>

<출발!>

<등산로>

<오르는 길>

<월명암 가기 전 약수터>

최근에 보스턴마라톤 테러가 생각이 난다!

삼가 명복을 빌어 본다! 

<월명암 대웅전>

<월명암 관음전>

<월명암>

변산의 제 2봉인 쌍선봉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월명암은 692년(통일신라, 신문왕 12) 부설거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 후 여러차례의 중수를 거쳐 내려오다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건하였다.

1848년(헌종 14)에는 성암화상(性庵和尙)이 크게 고쳐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으나 한말에 의병들이 이곳을 근거지로 하여 일본군과 싸울 때인 1908년에 다시 불타버리자 중고선사(中故禪師)가 어렵게 다시 절을 세웠다.

그러다가 8.15 광복 후 여순반란군이 이곳에 들어와서 6.25직전, 그들 반란군에 의해 또다시 불에 타는 수난을 겪게되었다.

1954년 원경(圓鏡)스님이 군내 각 기관의 협조를 얻어 지금과 같은 작은 규모의 암자나마 다시 보게 되었다.

<월명암 종각>

<월명암>

옥편에서 찾아봐야 겠습니다?

<월명암>

<툭트인 풍광>

안개로 뿌옇지만.....

<노란 수선화(?)>

<월명암>

<지혜로운 이의 삶>

<설명 #1>

<사적기>

<숲길>

<정말 한가로운 숲길>

<금방 모이고...>

<어제간 관음봉과 세봉능선>

<바위 암봉>

<관음봉과 세봉>

직소폭포 저수지도 보이고...

<직소폭포 가는 길 #1>

<직소폭포 가는 길 #2>

<직소폭포 가는 길 #3>

<직소폭포 #1>

<직소폭포 #2>

<직소폭포 #3>

<직소폭포 #4>

<직소폭포 #5>

<직소폭포 #6>

<직소폭포 #7>

<직소폭포 #8>

<직소폭포 옆>

<직소폭포 #9>

<설명문>

<직소폭포 저수지>

<직소폭포 저수지>

<하산길>

<실상사>

<설명>

<시 #1>

<시 #2>

<인장바위 #1>

<인장바위 #2>

<인장바위 #3>

<설명>

<내변산 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