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

[무등산국립공원]장원3거리~장원봉(412m)~덕봉(449m)~덕봉산(417m)~증암교~최고봉(493m)~유둔봉(459m)~유둔치~남면 면사무소 다녀오기(2015/3/14/토)

魚山/막걸리 2015. 3. 16. 22:14

산 행 지  : 장원봉(412m), 덕봉(449m), 덕봉산(417m), 최고봉(493m), 유둔봉(459m)  

산행일자 : 2015년 3월 14일(토)  

누구랑 : 혼자

날씨 :  비가 온 다음날이기에 더욱 맑고 상쾌한 봄날 

산행코스 : 장원3거리(10:15)~△장원봉(342m/10:47)~△덕봉(449m/11:50)~△덕봉산(417m/12:46)~증암교(14:06)~

                 ~호남정맥 갈림길(15:05)~△최고봉(493m/15:15)~△유둔봉(459m/16:23)~유둔치(16:57)~

                 ~남면 면사무소(17:30)   

산행시간 : 10:15~17:30(7시간 15분)

 

마눌님이 요즘 유행하는 독감으로 1주일 이상 계속 고생하고 있다.

바람을 쐬면 안된다면서 혼자 산에 다녀오란다.

괜히 미안한 척하면서 집을 나섰다.

 

광주호 환종주라는 코스 중 안가본 곳으로 가보기로 한다.

덕봉산을 거쳐서 증암교까지다.

되돌아 오는 시내버스를 고려하여 까치봉에서나 하산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출발했다.

 

전날 저녁에 비가 내려서인지 하늘이 더욱 높고 쾌청하게 보인다.

혼자이기에 천천히 가는데까지...

 

평소에 다녔던 장원3거리의 무등산옛길 3구간 들머리에서부터 시작했다.

장원봉과 덕봉을 지나서 옛길3구간과 헤어졌다.

증암교까지 가는 길은 가시덤불들이 있었지만 선덥자들의 흔적들이 있어서 별 어려움은 없었다.

걷다보니 따스한 봄 햇살이 노곤하기까지 하다.

 

호남정맥 능선길에 도착하여 가다보니 유둔치까지 갈 여유가 있을 것 같아서 진행했다.

유둔봉에는 참산꾼에서 부착한 안내판을 보고는 용주님 생각이 났습니다.

여기를 지나가면서 흔적을 남겼구나! 

 

유둔재에서 시내버스가 있는 담양군 남면 면사무소까지 걸어가다가 많은 히치를 요청했습니다.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다가 그냥 걸어가다가 다시 시도했습니다.

다행히 남면에 사시는 분이기에 광주로 가는 버스 차시간이 17:40분에 있다고 하십니다.

시간을 보니 17:30였습니다.

그 때의 그 행운감이란...! 출발을 대기중인 시내버스에 올라타서 한참을 기다리니 기사님이 왔습니다.

동시에 찾아 온 행운으로 운이 좋은 날이라고 중얼거리면서 출발했습니다.

 

<광주호 환종주 다녀온 개념도> 

<광주호는 전남 담양군 고서면(古西面). 남면(南面)과 광주 북구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로서, 담양호(潭陽湖), 나주호(羅州湖),

장성호(長城湖) 등과 함께 영산강(榮山江) 유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의 지류 고서천을 댐으로 막아 1976년 9월 준공된 호수이다.

4개 호수 중 가장 규모가 작으나, 댐은 높이 25 m, 길이 505 m로 만수면적(滿水面積) 186 ha, 총저수량 1740만 t,

몽리면적(蒙利面積) 3,155 ha이다. 수리(水利), 홍수조절 외에 호수 주변은 유원지로 개발되었다.​

이 호수의 주변은 정철이 〈성산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등을 완성한 곳이기도 하며, 개선사 지석등·식영정(息影亭),

조선 중기의 민간정원인 소쇄원(瀟灑園) 등의 문화재가 있어 관광명소가 되고 있다.>

* 몽리 : 저수지 관개 시설 따위 필요한 물을 얻음

<광주호 환종주 지도>

<들머리 안내지도>

<장원봉>

<덕봉 뒤로 보이는 무등산>

<덕봉산>

<가야할 호남정맥능선>

<광주호와 무등산>

<증암교>

<도로를 타고 오다가 학구당방향으로>

<이정표>

<최고봉>

<유둔봉>

<안내지도>

<유둔재>

<도로를 따라서..>

<남면 면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