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

[섬진강100리 테마로드]섬진교~하동송림~남도대교~섬진교 회귀하기(41.1km/2015/3/12/목)

魚山/막걸리 2015. 3. 13. 23:22

산 행 지  : 섬진강테마로드 41.1km

산행일자 : 2015년 3월 12일(목)

누구랑 : 혼자

날씨 : 바람이 불었지만 완연한 봄 날씨

산행코스 : 섬진교(08:45)~하동송림(09:00)~재첩길~두꺼비길~문학길~야생차길~남도대교(12:36)~섬진강자전거길~

                ~섬진교(16:10)

산행시간 : 08:45~16:10(7시간 25분)

 

<영호남 통합의 상징인 섬진강변 100리 테마로드가 완전히 개통됐다. 하동군은 ‘스토리가 있는 길’ 조성을 통해 동서의 통합과

  지역 상생발전을 꾀하고자 2011년 10월 경남 하동과 전남 광양을 잇는 섬진강 100리 테마로드 조성 사업을 착공해 3년5개월

  만에 완공했다고 9일 밝혔다.
  국토교통부 지원사업으로 추진된 테마로드는 섬진강을 중심으로 하동송림~남도대교~광양 다압면~섬진교를 잇는 41.1㎞로

  조성됐다.
  테마로드 가운데 광양 지역 20.2㎞는 2013년 말 102억원을 들여 이미 자전거도로로 개설됐다.

  광양 구간 자전거길은 웰빙로·명상의 길·매화꽃길·섬진나루터 등 역사·문화와 연계된 길이다.>-경향신문 2015/3/10에서

 

자동차로 다녔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바로 나섰다.

매화가 피었을 것도 같기에

가보니 아직은 일렀지만 매화축제를 준비중에 있었다.

 

다음 주말이 절정이지 않을까?

 

하동군은 새로 조성했지만 광양 다압면쪽은 기존 자전거도로를 활용하였다.

시원한 섬진강 강바람을 맞으면서 걸어가는 곳마다 쉼터를 만들어 아주 편하게 준비를 했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남도대교 지나서는 하천산 안내도를 보면서 가까운 시일에 가 볼려고 생각했다.

 

아주 편안하게 걸었던 그런 시간들이었다.

전일 서울서 심야고속버스를 타고 내려왔기에 피곤하기는 하였지만....

 

<다녀온 개념도>

<이제 매화가 피기 시작 합니다>

<섬진교>

<하동송림>

<안내글>

<섬진강100리테마로드-하동군>

<섬진강과 매화>

<하동포구노래비>

<나림이병주문학비>

태양에 바래지면 역사가 되고 월광에 문들면 신화가 된다

이병주(李炳注, 1921~1999)는 언론인이며 소설가이다. 호는 나림(那林)이다.

<테마로드와 국도>

4월경에 벚꽃이 피면 환상일텐데.. ..

<쉼터>

<섬진강 로드길>

<건너 광양 매화마을>

<재첩길>
재첩껍질로 돋아놓은 길...몇 마리나 될까?

<돌티미나루터에서 본 광양 백운산 상봉>

<광양 백운산 상봉 능선>

<매화나무 사이 길>

<앞 하동서제봉, 그 뒤 구례 왕시리봉>

<섬진강의 지형>

<섬진강의 유래>

<섬진강의 역사>

<섬진강의 설화>

<악양 평사리를 둘러싸고 있는 산군>

평사리 주면 산군들을 도는데 약 30km정도....

다시 가 봐야겠는데.... 

<평사리 벚꽃길>

<평사리 공원 #1>

<평사리 공원 #2>

<평사리 공원 #3>

<도로와 나란히>

<맨 앞이 성제봉>

<되돌아 보고>

<안내판>

<악양을 지나고>

<팽나무 쉼터>

<녹차밭>

<멀리 남도대교가 보입니다>

<남도대교>

<섬진강 뒤로 하동 금오산이 보이고..>

<하천산 12.1km...>
가고 잡다!

<다압면 안내도>

남도대교~하천~매화랜드~염창~매각~작금~평촌~죽천~항동~고사~항동~

고사~관동~고사~관동~소학정~~다사~섬진~외압~신기~섬진교

<지방도 나란히 달리는 자전거길>

<섬진강과 매화>

<고사마을 안내글>

<당겨본 하동 금오산>

<매화축제 준비 중>

<섬진강 유래비>

<섬진진터 석비좌대>

<둔치주차장과 섬진교>

<섬진교>